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트럼프 깡패_미국 행정부, 광복절 축하 성명에서 ‘글로벌 안보 협력’ 강조

by obusylife 2025. 8. 15.
반응형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한국의 80주년 광복절을 맞아 공식 축하 성명을 발표하며, 한미 동맹의 ‘글로벌 안보 과제 대응’ 역할을 재차 부각했습니다. 이번 메시지는 단순한 경축 인사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으며, 향후 한미 관계의 방향성에 중요한 시그널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의 축하 성명

현지시간 8월 13일,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은 ‘한국 국경일(광복절)’이라는 제목의 공식 언론 성명을 통해 한국 국민에게 축하 인사를 전했습니다. 그는 성명에서 한국을 **“필수불가결한 동맹”**으로 규정하며, 번영 확대와 글로벌 안보 과제 대응을 위해 협력을 이어가겠다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루비오 장관은 “이재명 대통령과 그 행정부와 함께 철통 같은 한미동맹을 발전시키기를 기대한다”라고 언급했습니다. 이는 단순히 양국 관계의 중요성을 재확인하는 차원을 넘어, 향후 동맹의 역할과 범위가 한층 확대될 것임을 시사합니다.

‘가장 시급한 글로벌 안보 과제’의 의미

성명에서 언급된 ‘가장 시급한 글로벌 안보 과제’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만을 지칭하지 않습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최우선 외교·안보 의제로 삼고 있는 중국의 역내 현상변경 시도 견제 역시 포함된 개념입니다.

이는 한미 동맹의 범위를 한반도 안보에 국한하지 않고, 아시아·태평양 전역 및 글로벌 안보 환경 전반으로 확대하려는 의지를 반영합니다. 대만해협, 남중국해 등에서 중국과 관련한 급변 사태가 발생할 경우, 미국은 한국의 적극적인 역할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한미 정상회담을 앞둔 사전 메시지

루비오 장관의 이번 발언은 오는 8월 25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릴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나왔습니다. 미국 측은 이번 회담에서 ‘동맹의 현대화’와 ‘전략적 유연성 확대’를 핵심 의제로 삼을 예정입니다.

즉, 이번 성명은 한국 측에 사전 입장을 전달하며, 정상회담에서 이를 재확인하겠다는 의도입니다. 루비오 장관은 국무장관이자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대행으로서 이번 정상회담의 미국 측 의제를 총괄하고 있습니다.

‘동맹의 현대화’란 무엇인가

미국이 말하는 ‘동맹의 현대화’란 기존의 한미 동맹이 주로 북한 위협 억제에 초점을 맞췄던 구조에서 벗어나, 보다 유연하고 광역적인 안보 협력 체계로 확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글로벌 분쟁 발생 시 공동 대응, △신흥 안보 위협(사이버·우주 안보 등) 분야 협력, △중국 견제를 위한 다자 안보 협력 확대 등을 포함합니다.

특히 ‘전략적 유연성 확대’는 미군과 한국군이 한반도 이외 지역에서도 공동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뜻합니다. 이는 한국의 역할과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점에서 국내 정치적으로도 민감한 사안입니다.

동맹의 역사와 미래

루비오 장관은 성명에서 “70년 넘게 미국과 한국은 공통의 가치와 상호 이익을 바탕으로 동맹을 굳건히 해왔다”라고 강조했습니다. 한국을 **“회복력 있는 민주주의 국가이자 귀중한 경제 파트너”**로 평가하며, 함께하는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는 1953년 한미 상호방위조약 체결 이후 70년간 이어진 전통적 동맹의 가치를 재확인하는 동시에, 향후 변화를 예고하는 발언이기도 합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동맹을 ‘거래’와 ‘책임 공유’의 관점에서 접근해 왔지만, 이번 성명에서는 파트너십의 상징성을 강조한 것이 눈에 띕니다.

광복절 축하의 외교적 의미

미국의 광복절 축하 성명은 매년 있었지만, 올해는 80주년이라는 상징적인 해이자 새 한국 정부 출범 후 첫 광복절이라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집니다. 성명 속 표현 하나하나가 향후 한미 관계, 특히 안보와 외교 협력의 방향을 가늠할 수 있는 신호로 해석됩니다.

루비오 장관은 성명 말미에 “미국 정부를 대표해 국경일을 경축하는 한국인에게 진심 어린 축하를 전한다”고 말했습니다. 이 표현은 단순한 외교적 수사처럼 보이지만, 그 속에는 동맹 관계 강화와 확대에 대한 강한 의지가 담겨 있습니다.

향후 전망

오는 25일 한미 정상회담에서는 이번 성명에서 언급된 내용들이 보다 구체적으로 논의될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중국 견제, 인도·태평양 전략 참여, 군사적 유연성 확대 등은 한국의 외교·안보 전략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한미 동맹은 이제 한반도를 넘어 글로벌 안보 환경 속에서 새 역할을 모색해야 하는 시점에 서 있습니다. 이번 광복절 축하 성명은 그 전환의 서막을 알리는 상징적인 메시지라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