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5일(현지시간), 미국 알래스카 앵커리지에서 열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간 정상회담은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습니다. 이번 회담은 우크라이나 전쟁의 향후 방향을 가를 중대한 분수령으로 기대를 모았으나, 결국 **‘노딜(No Deal)’**로 끝났습니다. 그러나 회담 직후 트럼프 대통령은 언론 인터뷰를 통해 휴전 합의의 공을 전적으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에게 넘기는 발언을 내놓으며 또 다른 논란을 불러일으켰습니다.
트럼프의 공개 압박, “젤렌스키가 합의해야 한다”
회담 직후 폭스뉴스와의 단독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휴전 협상이 최종 결실을 맺지 못한 이유를 우크라이나의 태도에 돌렸습니다. 그는 “합의는 체결된 것이 아니지만, 우크라이나가 동의해야 한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반드시 동의해야 한다”라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이는 전쟁 당사국인 러시아의 책임보다 우크라이나 측에 더 큰 부담을 지우는 발언으로, 국제 사회에서는 미국의 외교적 기조 변화 가능성을 짚어보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젤렌스키 대통령에게 조언을 하겠느냐’는 질문에 단호하게 “합의하라”라는 한마디 답변만 남겼습니다. 이 발언은 마치 휴전 조건이 불리하더라도 우크라이나가 받아들여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어, 사실상 젤렌스키 대통령에 대한 공개 압박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제재와 압박, 한발 물러선 트럼프
흥미로운 점은, 회담 전 트럼프 대통령이 강경한 메시지를 던졌다는 사실입니다. 그는 “러시아가 합의에 응하지 않을 경우 심각한 후과를 맞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그러나 실제 회담 직후에는 추가 제재 가능성에 대해 상당히 유보적인 태도를 보였습니다.
특히 주목받은 부분은 ‘2차 관세’ 부과 문제입니다. 이는 중국 등 러시아산 제품 대규모 수입국을 대상으로 하는 경제 압박 카드였으나, 트럼프 대통령은 “오늘 일어난 일을 고려할 때, 지금은 그럴 필요가 없다”며 “2~3주 후에 다시 생각해 볼 수는 있겠지만 현재는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러한 발언은 트럼프 대통령이 러시아보다는 우크라이나 측을 향해 압박의 무게중심을 두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후속 회담 가능성과 외교적 셈법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회담이 비록 합의에 이르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합의를 이룰 상당한 가능성이 있다”고 자신감을 내비쳤습니다. 나아가 푸틴 대통령과 젤렌스키 대통령이 함께하는 3자 회담 가능성까지 언급했습니다.
이러한 발언은 트럼프 대통령이 전쟁의 조정자 역할을 자처하면서도 실제로는 러시아에 대한 직접적 압박보다 우크라이나의 양보를 이끌어내는 데 더 큰 비중을 두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국제 사회 일각에서는 이러한 접근이 자칫 우크라이나의 협상력을 약화시키고, 러시아의 입지를 강화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됩니다.
회담 평가, “10점 만점에 10점”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회담의 성과를 묻는 질문에 “10점 만점에 10점”이라고 답하며, 푸틴 대통령과의 만남을 “따뜻했다”라고 표현했습니다. 회담이 성과 없는 결론으로 끝났음에도 불구하고 최고 점수를 매긴 점은 다소 의외로 비칩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푸틴과의 개인적 관계를 강조하며 외교적 우호 분위기를 연출하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
국제사회의 시선
이번 발언 이후 국제 사회에서는 다양한 해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일부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접근법이 현실적이라는 평가도 존재합니다. 전쟁의 장기화를 막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우크라이나가 일정한 양보를 해야 한다는 논리입니다. 그러나 반대로,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의 침공 책임을 희석시키고 우크라이나에 일방적인 합의를 압박하는 것은 국제 규범을 훼손하는 위험한 메시지라는 비판도 만만치 않습니다.
젤렌스키 대통령 입장에서는 미국의 이러한 태도 변화가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습니다. 미국의 지원을 등에 업고 전쟁을 버텨온 상황에서, 핵심 동맹국 지도자가 공개적으로 합의를 강권한다면 향후 협상 과정에서 불리한 입장에 놓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트럼프-푸틴 정상회담은 비록 가시적인 성과 없이 끝났지만, 그 이후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우크라이나 전쟁의 향방을 크게 흔들 수 있는 메시지를 던졌습니다. 그는 푸틴 대통령과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묘사하며 러시아에 대한 추가 압박은 미루는 대신, 젤렌스키 대통령에게 ‘합의 수용’을 공개적으로 압박했습니다.
향후 2~3주 안에 후속 논의가 이어질지, 그리고 3자 회담이 현실화될지는 미지수입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이번 발언이 우크라이나 전쟁의 협상 국면에서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이라는 점입니다. 국제 사회는 이제 트럼프 대통령이 말한 “합의할 상당한 가능성”이 실제로 어떻게 구체화될지 주의 깊게 지켜보고 있습니다.